목록분류 전체보기 (356)
DY의 세상구경
앞서 우분투에 darknet을 설치했다면 (http://dyndy.tistory.com/245)이제 yolo를 사용해 볼 수 있다. 이해한 바로는 darknet은 단지 neural network framework일 뿐이고 여기서 각종 RNN, CNN등의 복잡한 분류 알고리즘을 이미 학습된 weight값과 신경망 연산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한다.그중 유명한 것이 CNN을 이용한 AlexNet이 있는데 이것도 darknet에서 사용해볼 수 있다. (CUDA가 있어야 빠를 것 같다.) 여기선 그런 여러가지 deep learning 알고리즘 중 하나인 YOLO라는 것을 사용해 볼 것이다. YOLO는 single neural network를 사용하기 때문에 엄청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는데... (http://..
딥러닝을 이용한 image classification을 시험해보기 위해 이것저것 찾던 중...빠르고 가볍다는 yolo(http://pjreddie.com/darknet/yolo/)를 사용해 보기로 하였다. 생초보라 이것저것 보면서 공부를 하기는 했는데... 사실 봐도봐도 모르겠으므로... 무작정 설치해보고 결과를 보며 신기해하는걸로...yolo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arknet을 설치해야 한다. darknet은 C와 CUDA로 짜여진 오픈소스 neural network framework이다. 관련 paper는 https://arxiv.org/pdf/1506.02640v5.pdf에서 확인 가능하다. 사실 능력이 안되는지라 읽어보기는 했는데 잘 모르겠다.. 신기방기 우선 opencv를 설치한 후에(설치방법 ..
스칼라를 조금씩 공부해보기 위해... Typesafe Activator를 설치해 보기로 하였다. 아래 주소에서 다운(Window, Linux, MacOS 전부 된다고 한다.https://www.lightbend.com/activator/download여기서는 윈도우 10에 설치해 보았다. sbt를 설치한다. sbt는 scala build tool이다. http://www.scala-sbt.org/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압축해제한 폴더의 bin 폴더로 가서 activator.bat을 실행시키면 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sbtconfig.txt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뜬다. (나만 그런건지는 확실하게 모르겠다...) ACTIVATOR_HOME=C:\Users\...\Downloads\activa..
우분투에 opencv 설치해 보았다. 2버전을 설치할까 고민하다가... 3버전을 먼저 설치해보았다. 2버전은 추후 필요하면 설치하는 것으로.. 1. g++, cmake를 설치한다. 12sudo apt-get install g++sudo apt-get install cmakecs 2. opencv를 다운받는다. (여기서는 3.1버전을 다운받았다.)http://opencv.org/downloads.html 3. cmake다운받은 opencv 압축을 해제하고 압축해제한 폴더로 간다.3.1버전 기준 폴더명이 opencv-3.1.0일 것이다. 1sudo cmake .cs 4. make 후 인스톨1sudo makecs꽤 오래 걸린다. 끝났다면1sudo make installcs하면 opencv 설치가 완료된다. 5..
이름은 사실 거창하지만... 사실 크게 어려울 것은 없다.사실 여기 쓰는 모든게 그렇지만 혼자 알아낸것이라기 보다는... 배운 것이므로 배우고나면 어렵진 않다. 스스로 생각해내기는 참 어려울 것 같지만.. 우선 이 최적화를 하기 전에는 당연히 선행되어야 할 것이알고리즘은 완벽하게 구현한 후에 실행하여야 할 것이다. 모두 구현이 끝난 후에 어떻게하면 조금 더 빠르게 할까..? 생각하면서 하나하나 최적화해나갈 때 필요한 지식이다.익숙하지 않을 때 처음부터 이런걸 고려한다면 알고리즘 구현도 벅찰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사실 전체 프로그램에서 아래와 같은 것들이 100번이나 1000번정도만 사용된다면 사실 그다지 프로그램의 실행속도향상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모으고 모으고 모아서... 100만번 정도의 연산을..
우분투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SSH(Secure Shell)를 설치한다. 우분투 설치 후 최초로 설치하는 것이기 떄문에 update, upgrade 후 설치하였다. (필수는 아님) 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upgrade 1. 우선 서버를 설치한다.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2. 설정을 변경하고 싶다면sudo vi /etc/ssh/sshd_config 보통 vi 에디터를 이용한다. 우분투 gui에서는 gedit을 사용할 수도 있다.sudo gedit /etc/ssh/sshd_config5번째 라인즈음에 Port가 있으므로(기본 22) 변경하고 싶은 경우 변경하여 사용하지만 크게 바꿀일은 없을 것 같다. (아래 사진은 22222로 바꾼..
이것저것 실험겸 개발겸 테스트를 위해 우분투를 설치했다. 버전은 16.04.1 버전(2016-10-13 기준 최신) 처음 설치하고 부팅했을 때 세팅을 잘못하지는 않은 것 같은데...cmd모드로 부팅이 되었다. 이때는 로그인 후 startx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또는 ctrl + alt + f7을 눌러도 된다. (ctrl + alt + f1~f6은 cmd모드) 아에 부팅을 GUI로 되게 하고 싶은 때는 vi에디터 등을 열어서 옵션을 바꾸어 주면 된다. vi /etc/init/rc-sysinit.conf 파일에서 14라인의 env DEFAULT_RUNLEVEL=2로 수정하면 된다. 설치했을 때 GUI를 설치하지 않았다면... 잘 모르므로 재설치하는게 좋을수도...
정밀도와 재현율 위키 확률 통계쪽 분야에서 사용한다고 들었는데, 영상쪽에서는 주로 인식률에 대한 지표로 사용한다.이를 알기 위해 먼저 네가지 지표를 알아야 하는데 아래 표와 같다. TP(True Positive), FP(False Positive), FN(False Negative), TN(True Negative)표를 보면 어렵지 않다. 객체 인식률을 확인한다고 하였을 때,1. TP : 객체가 있는데 정확히 인식한 경우2. FN : 객체가 있으나 인식하지 못한 경우3. FP : 객체가 없음에도 인식한 경우4. TN : 객체가 없는데 인식하지 않은 경우(사실 인식에서는 계산하기가.. )그림이 있다면 설명이 더 편해질 것 같다. (추후 추가 예정) 실제 정답 True False 실험 결과 Positive ..